응모과제
브랜드 소개
- 브랜드명: 희망브리지
- 기후위기가 초래하는 감염병의 심각성을 일깨우는 아이디어
- 희망 브리지 전국 재해 구호 협회는 재해 구호법상 법적 지위를 인정받은 법정 구호 단체로서 태풍, 지진, 폭설과 같은 자연 재난과 세월호 참사, 대구 지하철 참사, 메르스 사태 등과 같은 사회 재난 피해자들이 피해 이전의 정상 생활로 돌아갈 수 있도록 돕는 재난∙재해 구호 모금 전문 기관(NGO)이다. 각종 재난에 취약한 우리 이웃들을 돕기 위해 다양한 국내 구호 사업 들을 전개하고 있다.
- 또한 해외 재난 긴급 구호를 비롯해 ‘기후 난민 어린이 살리기, 희망T캠페인’, ‘기후 난민 산모와 신생아 살리기, 희망 싸개 캠페인’, ‘기후 변화 대응, 프롬디어스’ 등 참여 형 기부 캠페인과 어린이 재난 안전 교육, 재해 구호 전문 인력 양성 교육 등 다양한 재난·재해 예방 교육을 실시하고 있다
시장 상황
- 기후변화가 심각해질수록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증과 같은 감염병의 위협이 커질 것이라는 예측은 정설로 받아들여지고 있음.
- 지난 2014년, 세계보건기구(World Health Organization, WHO)는 지구 평균기온이 1도 오를 때마다 전염병이 4.7% 늘어날 것으로 예측함.
- 독일 연구팀(Gorji and Gorji, 2020)에 따르면, 기후변화와 이로 인한 급속한 환경변화가 코로나19와 같은 전염병의 출현과 확산에 대한 위험을 증가시켰다고 주장함.
- 지난 2015년, 빌게이츠는 테드(TED) 강연에서 “만일 향후 몇 십년내 1,000만명 이상을 사망에 이르게 하는 것이 있다면, 그것은 전쟁보다는 전염성이 높은 바이러스일 가능성이 크다”고 주장함.
- 기후위기가 감염병에 영향을 미치는 원리는 두 가지로 나눌 수 있음.
- 매개감염(Vector borne)
- 모기, 세균 등 바이러스를 옮기는 매개체의 활동성에 기후변화가 큰 영향을 미침. 대형 홍수나 가뭄이 들면 이 매개체들이 급격히 증가하거나 사라지는데, 기후변화가 이러한 매개체들이 증식하기 좋은 환경을 제공함.
- 야생동물 등이 옮기는 ‘인수공통감염병’ 역시 기후변화로 인해 증가할 가능성이 있음.
기후변화로 야생동물의 서식지가 줄어듦에 따라 야생동물과 인간이 접촉할 가능성이 늘어나고 있음
- 수인성(Water-borne) 감염병
- 콜레라, 장티푸스 등 세균성 감염병은 기후변화로 인한 홍수, 가뭄으로 인해 증가하고 있음.
- 코로나 19 팬데믹, 기후 위기와 같은 재난은 모두 사회경제적으로 취약한 계층이 가장 큰 피해를 입게 되고, 나아가 사회 불평등을 증가시키는 주요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어 이를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한 방안 마련이 시급함.
커뮤니케이션 과제
- 기후 위기가 초래하는 각종 감염병에 대한 심각성을 일깨우는 아이디어
- 감염병 으로부터 국민을 지킬 수 있는 아이디어(예방 등 일상 속 행동을 촉구하는 아이디어)
- 일상 속에서 기후 위기를 저지할 수 있는 아이디어(일상에서 접목시킬 수 있는 캠페인, Action등)
- 커뮤니케이션 타깃 : 전 국민
Creative Guidelines
- 감염병 예방 및 대응을 위한 현실적이로 문제해결 가능한 아이디어를 선호함
- 과제를 위한 아이디어와 더불어 희망브리지 전국재해구호협회만의 차별적 이미지 구축 방안이 뒷받침 되어야 함
- 감염병 으로부터 국민을 지킬 수 있는 아이디어의 경우 가족, 동아리, 직장, 학교 등 단체가 활용 및 발전시킬 수 있는 내용을 선호함
- 1회성 이벤트가 아닌 장기적으로 지속 가능하고, 자율적으로 확산 가능한 아이디어를 선호함.
기타 주요사항
- 홈페이지: https://www.relief.or.kr
- 블로그: https://blog.naver.com/relief_sos
- 인스타그램: @relief.sos
- 페이스북: https://www.facebook.com/relief.sos
- 유튜브: https://www.youtube.com/user/hopebridge1961
- 관련 자료나 이미지 등은 추가로 제공하지 않음